lesson-learned

RESTful API 원칙 정리

1. HTTP 메소드

  • GET: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지정한 리소스를 보내라
  • POST: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서버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으로 보내라
  • PUT: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낸 데이터를 지정한 이름의 리소스로 저장하라
  • DELETE: 지정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삭제하라
  • HEAD: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응답에서 HTTP 헤더 부분만 보내라

1-1. GET vs POST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편적인 차이점들이 있다.

  • GET은 뒤로가기 버튼 및 페이지 리로드가 자유롭지만, POST는 데이터가 재전송된다
  • GET은 북마크가 가능하지만, POST는 불가능하다
  • GET 파라미터는 브라우저 기록에 남지만, POST 파라미터는 남지 않는다
  • GET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URL에 표시되지만, POST로 전송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좀 더 자세히 특징을 살펴보자.

1-1-1. GET

URL에 요청 파라미터를 붙여서 전송한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렵다. 또한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HTTP/1.1 스펙에 따르면 GET은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메소드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GET을 통해 서버 요청 후 응답을 받게 되면 브라우저에서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캐싱해 향후 중복되는 추가 네트워크 이용을 줄여 빠르게 조회할 수 있게 한다.

1-1-2. POST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GET과 달리 파라미터가 URL로 넘어가지 않고 HTTP 패킷의 Body에 담겨 전송된다. 따라서 URL 파라미터와 달리 전송 길이 제한이 없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적합하다.

POST로 요청할 때 Request Header의 Content-Type에 해당 데이터 타입이 표현되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타입을 적어줘야 한다. 따로 명시하지 않았을 경우 서버에서 컨텐츠의 내용이나 확장자 이름 등으로 타입을 유추한다. 알 수 없는 경우에는 application/octet-stream으로 처리한다.

데이터가 Body에 담겨 전송되기 때문에 GET보다 보안 측면에서 안전하긴 하지만, POST도 Fiddler와 같은 툴로 내용을 까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암호화하여 전송해야 한다.

1-2. 그냥 다 GET을/POST를 쓰면 안 되는 이유

GET은 같은 URL을 서버에게 여러 번 요청해도 동일한 응답이 돌아오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POST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GET의 설계 원칙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주로 조회를 할 때 사용된다. 웹페이지를 열어보거나 게시글을 읽는 등의 행위는 GET으로 요청하게 된다.

조회에 GET이 사용되는 또다른 이유는 웹페이지 조회 시 원하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기 위해서 해당 링크 정보가 필요한데, POST는 파라미터가 HTTP 패킷의 Body에 있기 때문에 링크 정보를 가져올 수 없다.

GET은 URL에 파라미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링크를 걸 때 해당 파라미터를 붙여주면 추가적인 정보를 붙여 더 상세한 링크를 걸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수정할 때 GET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기야 하지만, 데이터 전송 양에 한계가 있으며 데이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상 좋지 않고, Google Accelerator 사건과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


2. RESTful API

REST API는 자원(URI), 행위(HTTP 메소드), 그리고 표현으로 이루어진다.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하고,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메소드들로 표현한다. 자원의 이름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한다.

2-1. 특징

  • Uniform(유니폼 인터페이스): URI로 지정한 자원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한다.
  • Stateless(무상태성): 세션이나 쿠키 정보를 별도로 저장/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API 서버는 단순히 들어오는 요청만 처리하면 된다. 때문에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순해진다.
  • Cacheable(캐시 가능): REST는 HTTP라는 기존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HTTP의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 Self-descriptiveness(자체 표현 구조):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Client-Server 구조: REST 서버는 API 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세션,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어서 둘의 개발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의 의존성이 줄어든다.
  •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로드 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프록시나 게이트웨이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2-2. 한계

이론상으로는 RESTful한 API가 좋지만, 실무에서 처리해야 하는 다양한 상황들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2-2-1. 기능과의 괴리

예를 들어, 하나의 URL로 한 개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RESTful하게 만들어보자면 article/oid/aid와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그런데 만약 하나의 URL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면 RESTful한 방법으로는 어렵다.

만약 하나의 URL로 복수 개의 oid, aid 쌍을 가져와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다.

  1. POST로 request body에 일정한 양식의 oid, aid 쌍들에 대한 정보를 넣어 받아온다.
  2. request body를 파싱해 oid, aid들을 뽑아내고 각자 필요한 API를 호출한다.

RESTful하지는 않지만, 동작할 것이다.

2-2-2. 보안(?) 이슈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었다. 개발이 완료된 후 테스트 단계에서 보안팀이 테스트를 돌릴 떄 GET 방식은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방어로직을 만들어놓기 까다로우니, 아예 초기 설계 단계부터 모든 API를 POST 방식으로 개발하자는 윗선 의사결정이 있었다 (…)

아직도 잘 납득이 되진 않지만.. 결과로 모든 API들의 끝에 /search, /update, /remove 와 같은 것들을 붙이는 형태가 되었다.


References